ESG 경영에 대응하기 위해서 국내 중견·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서는 무엇보다도 ESG 사내 전문가 양성과 더불어 실질적인 ESG 경영을 위한 실행 지침서가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ESG 경영을 하기 위해서는 ESG와 관련된 ISO 인증규격별 주요 핵심 사항들을 현재 운영 중인 경영시스템에 PDCA 관리사이클에 준하여 ESG의 요소를 융합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준비하기 위한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학습 과정을 통한 기술 향상은 ESG 경영 실행 지침으로서 산업계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파급될 것이다.

국내의 중견·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서 ESG 경영을 하기 위해서 숙련된 ESG 경력자와 신입 전문가들을 채용하기란 매우 힘든 상황이다. 이에 국내의 구직란을 해소하고 취업 전선에 있는 취준생과 장년생들에게 ESG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의 모습으로 새롭게 나타나는 좋은 기회로 찾아올 것이다.

대학교 및 교육기관에서 ESG 경영과 관련된 ISO 인증 심사원 양성 과정과 ESG 심사원 양성 과정을 통해서 배출된 전문가들이 국내 기업들이 봉착된 현실적으로 필요한 당면 과제를 선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첨병 역할을 할 것이다.

ISO 인증규격의 기본 출발점은 ISO 9001:2015 품질경영시스템이다.
먼저, ISO 9001: 2015 기본 구조를 이해하면 ESG 경영과 관련된 ISO 인증 확장성을 통해서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ISO 50001(에너지경영시스템),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 27001(정보보호경영시스템), ISO 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 37301(준법경영시스템), ISO 26000(사 회적책임경영시스템) 등을 현재 기업이 운영 중인 경영시스템에 융합이라는 과정을 거쳐 부분 통합 또는 전체 통합을 통해서 ESG 경영에 대응하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실천 방법이 될 것이다.

ESG 경영만을 위한 단독 매뉴얼과 절차서를 추가로 제정하여 운영 및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중견·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서는 또 다른 이중 업무를 발생시켜서 기업 내부의 손실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될 것이다.

환경(E), 사회(S), 지배구조 (G)에서 관리해야 되는 성과지표를 기업의 경영시스템 내 PDCA 관리사이클에 준한 요구 사항에 반영하여 통합 및 운영해야 할 것이다.

※본 칼럼은 동작경제신문에 동시 연재되고 있습니다.

◆◆ 필자소개 ◆◆

◆ 경력
(현) (주)한국산업기술경영연구원 대표
(현) KIITM 아카데미 교육연수기관 원장
(현) 건국대학교 벤처전문기술학과 경영공학박사
(현) 산업응용분야 공장관리기술사
(현) 경영지도사(생산관리)
(현)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
(현) 서울중소벤처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 전문 상담위원
(현) 경기테크노파크 기술닥터
(현) 스마트팩토리혁신추진단 스마트평가위원
(현) K-ESG평가원 기획평가위원회 진단‧평가위원
(현) 메인비즈협회 ESG 경영컨설팅 전문위원
(현) ISO인증 검증(선임)심사원
(현) ISO인증 & ESG 심사원/전문가 양성과정 교육 전담교수
(현)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R&D 평가위원
(현) 한국콘텐츠진흥원 평가위원
(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평가위원 외.

◆ 전문분야
기업진단, 경영전략, 공정개선, 생산혁신, 품질개선, 경영컨설팅, ISO인증심사,
ESG진단.평가, ESG컨설팅, ISO인증심사원 및 ESG심사원 양성과정 교육
(교육과정: ISO9001/14001/45001/50001/27001/37001/ESG심사원 양성과정 외 다수)

◆ 저서
중견·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ESG 완전정복]
-ESG 경영의 이해와 실행 지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