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경제 기업에 ESG 경영은 기회인가?
기업 경영에 있어 재무적 수익 외에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등의 비재무적 요소가 중요하다는 것을 계속 강조하고 있다.
재무적인 요소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ESG를 활용 하려는 움직임이 이제 법제화까지 추진하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사회적 가치 추구가 하면 좋지만, 잘 되면, 돈 벌면, 나중에가 아니라,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이미 오래전부터 사회적 가치(SV)와 경제적 가치(EV)를 모두 추구하는 사회적 경제 기업들에게는 사회적 경제의 본연의 역할을 알리고 확산시킬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 다가올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지금 부터 차근차근 준비함이 필요하다.
▶일반 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비교
일반 기업과 사회적 경제 기업의 공통점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있다.
우리가 알 고 있는 수많은 기업은 경제적 가치(수익 창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기업은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기 때문에 사회적 소명을 다한다는 가치관이 내재되지 않으면 쉽지 않은 영역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이 두드러지는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가정은 나 몰라라 하면서, 타인을 돕거나 사회활동에 매진하는 아버지로 인해 풍비박산 이 난 가정을 보여 주는 드라마나 영화에 대해 기성세대는 익숙한 편이다. 지금의 기준으로 이런 가장에 대한 사회적 평가는 어떨까? 투자 기관의 입장에서 이런 창업자와 기업에 대해 지원 및 투자가 이루어질까? MZ세대가 보기에는 어떻게 보일까?
사회적 기업은 수익 창출에 초점을 맞춘 기업보다 더 힘든 길을 간다. 하지만 자신의 가정, 동고동락하는 직원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공헌하며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들은 많이 존재한다.
▶소셜벤처와 벤처 기업의 비교
소셜벤처와 벤처기업에 대한 구분은 일반기업과 사회적 기업을 구분한 내용과 유사한 부분이 있다. 일반 벤처는 기술혁신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 소셜벤처는 사회문제 해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사업화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약간 애매할 수 있어 한국사회적기업 진흥원에서 제공한 내용을 참고하면 된다.
◆◆ 필자소개 ◆◆
◆ 경력
(현) (주)한국산업기술경영연구원 대표
(현) KIITM 아카데미 교육연수기관 원장
(현) 건국대학교 벤처전문기술학과 경영공학박사
(현) 산업응용분야 공장관리기술사
(현) 경영지도사(생산관리)
(현)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
(현) 서울중소벤처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 전문 상담위원
(현) 경기테크노파크 기술닥터
(현) 스마트팩토리혁신추진단 스마트평가위원
(현) K-ESG평가원 기획평가위원회 진단‧평가위원
(현) 메인비즈협회 ESG 경영컨설팅 전문위원
(현) ISO인증 검증(선임)심사원
(현) ISO인증 & ESG 심사원/전문가 양성과정 교육 전담교수
(현)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R&D 평가위원
(현) 한국콘텐츠진흥원 평가위원
(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평가위원 외.
◆ 전문분야
기업진단, 경영전략, 공정개선, 생산혁신, 품질개선, 경영컨설팅, ISO인증심사,
ESG진단.평가, ESG컨설팅, ISO인증심사원 및 ESG심사원 양성과정 교육
(교육과정: ISO9001/14001/45001/50001/27001/37001/ESG심사원 양성과정 외 다수)
◆ 저서
중견·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ESG 완전정복]
-ESG 경영의 이해와 실행 지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