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산업표준으로서 품질경영시스템의 도입은 기업이 전체적으로 ESG 경영성과를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계획을 위한 견실한 기반을 제공하는 데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전략적 의사결정이다. 이 표준을 기반으로 한 품질경영시스템의 실행이 기업에 미치는 잠재적 이점들을 다음과 같다.
* 고객의 요구사항, 그리고 적용되는 법적 및 규제적 요구사항에 적합한 제품 및 서비스를 일관되게 제공할 수 있다.
* 고객의 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기회를 촉진한다.
* 기업의 상황 및 목표와 연관된 리스크와 기회를 다룬다.
* 규정된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에 적합함을 실증할 수 있다.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은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과 상호 보완적이다.
품질경영시스템은 계획(Plan)-실행(Do)-검토(Check)-개선(Action) 관리사이클과 리스크 기반 사고가 포함된 프로세스 접근법을 활용한다. 프로세스 접근법을 통하여 기업은 프로세스들과 그 상호작용을 계획할 수 있다. PDCA 관리사이클을 통하여 기업은 프로세스에 충분한 자원이 제공되어 관리되는 것과 개선 기회가 파악되어 조치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리스크 기반 사고를 통하여 기업은 프로세스와 품질경영시스템이 계획된 결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요인을 정할 수 있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재발 방지 및 예방 관리를 시행할 수 있으며, 기회가 있으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일관되게 충족시키고, 미래의 니즈와 기대를 다루는 일은 점점 더 역동적이고 ESG 경영과 같은 복잡한 환경에서 기업에게는 도전이 될 것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은 시정과 지속적인 개선에 추가하여 획기적인 변화, 혁신 및 조직 개편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개선을 채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상호 관련된 프로세스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은 기업이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조직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기여한다. 이 프로세스 접근법을 통하여 기업은 시스템의 프로세스 간 상호 관련성과 상호 의존성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전반적인 성과가 증진될 수 있다.
리스크 기반 사고(risk-based thinking)는 효과적인 품질경영시스템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사항이다. 리스크 기반 사고의 개념은 잠재적 부적합을 제거하기 위한 예방 조치의 수행, 발생하는 모든 부적합의 분석, 그리고 부적합의 영향에 적절한 재발 방지 조치를 모두 포함한다. 표준의 요구사항에 적합하도록 기업은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기 위한 조치를 계획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리스크와 기회 모두를 다루는 것은 품질경영시스템의 효과성 증진, 개선된 결과 달성 및 부정적 영향 예방을 위한 기반을 확립하는 것이다. 기회는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기에 유리한 상황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데, 기업이 고객을 유치하고, 새로운 신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며, 낭비를 감소시키거나 생산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상황의 집합이다. 기회를 다루기 위한 조치에는 연관된 리스크의 고려도 포함될 수 있다.
리스크는 불확실성의 영향이며, 그러한 모든 불확실성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리스크로부터 발생되는 긍정적인 변경은 기회를 제공 할 수 있으나, 리스크의 모든 긍정적인 영향이 기회로 되는 것은 아니다.
품질경영시스템 표준을 통하여 기업은 PDCA 관리사이클과 리스크 기반 사고에 연계된 프로세스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고, 기업의 경영시스템을 기타 경영시스템 표준의 요구사항과 정렬하거나 확장을 통하여 통합할 수 있다.
ESG 경영에 대응하기 위해서 ESG 요소들을 기업의 경영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이며 그 실행 지침이 되는 것이다. ISO 인증 경영시스템 표준들은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을 시작으로 2015년 개정판부터 경영시스템 기본 구조(High Level Structure: HLS)와 리스크 중심으로 PDCA 관리사이클을 준하여 표준별 요구사항들을 반영해서 개정한 표준안을 발표했다.
ESG 경영과 관련된 ISO 인증 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들을 PDCA 관리사이클에 준해서 도식화함으로써 ISO 경영시스템이 표준화된 것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시작점은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기본 구조이다.
※본 칼럼은 동작경제신문에 동시 연재되고 있습니다.
◆◆ 필자소개 ◆◆
◆ 경력
(현) (주)한국산업기술경영연구원 대표
(현) KIITM 아카데미 교육연수기관 원장
(현) 건국대학교 벤처전문기술학과 경영공학박사
(현) 산업응용분야 공장관리기술사
(현) 경영지도사(생산관리)
(현)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
(현) 서울중소벤처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 전문 상담위원
(현) 경기테크노파크 기술닥터
(현) 스마트팩토리혁신추진단 스마트평가위원
(현) K-ESG평가원 기획평가위원회 진단‧평가위원
(현) 메인비즈협회 ESG 경영컨설팅 전문위원
(현) ISO인증 검증(선임)심사원
(현) ISO인증 & ESG 심사원/전문가 양성과정 교육 전담교수
(현)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R&D 평가위원
(현) 한국콘텐츠진흥원 평가위원
(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평가위원 외.
◆ 전문분야
기업진단, 경영전략, 공정개선, 생산혁신, 품질개선, 경영컨설팅, ISO인증심사,
ESG진단.평가, ESG컨설팅, ISO인증심사원 및 ESG심사원 양성과정 교육
(교육과정: ISO9001/14001/45001/50001/27001/37001/ESG심사원 양성과정 외 다수)
◆ 저서
중견·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ESG 완전정복]
-ESG 경영의 이해와 실행 지침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