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는 투자자의 ESG 요구 증대이다.
ESG에 대한 투자자의 요구로 대표적인 제도는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이다. 스튜어드십 코드는 기관투자자가 의결권 행사 등으로 기업 경영에 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관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를 통한 기업의 지배구조 견제를 통해서 글로벌 금융 위기와 같은 위기를 막아야 한다는 의견들이 나오면서 2010년 영국에서 최초로 스튜어드십 코드가 도입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에 관련 제도가 갖추어지고, 2018년에 국민연금을 시작으로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이 시작되었다. 이후 기관투자자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기관투자자의 역할과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해외에서 ESG 경영을 잘하지 못하는 기업들에게 기관투자자들이 직접 의결권을 행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CEO 래리 핑크 회장은 2020년 1월에 투자자들과 기업 CEO들에게 보낸 연례 서한에서 앞으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투자결정의 기준으로 삼겠다고 선언함으로써 ESG 경영이 투자자의 중요한 관심사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블랙록은 환경오염 개선 미비를 이유로 볼보 등 35개 기업에게 의결권을 행사한 바 있다. 주요 선진국들의 투자회사와 은행들도 ESG 철학을 자금 운영 전략에 접목하였고 지속가능성 투자에 대해 투자자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업들에 대해서도 세계 최대 투자 기관들의 주주권 행사가 시작되고 있다. 기후행동 100+(Climate Action 100+)라는 세계 최대 투자 기관에서 2021년에 우리나라의 탄소중립위원회 위원장 앞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명확한 계획을 제시하고 민간 석탄발전소 퇴출 문제를 논의해 달라는 공식 서한을 보내 왔다. 투자자들은 투자 기업에 대한 의결권 행사뿐만 아니라 투자 대상을 정할때에도 ESG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기관투자자들이 ESG를 고려해서 진행하는 투자액은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관투자자들이 ESG 투자를 할 때 고려하는 사항 중 가장 비중이 큰 전략은 네거티브 스크리닝이다. 네거티브 스크리닝은 담배 판매, 무기 제조와 같은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해치는 활동을 통해 이익을 얻는 기업을 투자 포트폴리오나 펀드 구성에서 배제해 버리는 것이다. ESG 통합 전략은 투자의사결정을 위한 재무분석 프로세스 자체에 ESG 요소를 체계적, 명시적으로 융합시키는 방식이다.
ESG 요소를 투자의사결정에 적용한 사례를 살펴보자.
네덜란드 연기금(APG)은 에어버스, 필립모리스 등 159개 기업을 무기 제조, 담배 판매 등의 이유로 투자를 배제하였고, 노르웨이 은행투자운영회(NBIM)의 경우에는 환경파괴의 이유로 듀크에너지, 콜인디아(Coal India)에 대해 투자를 배제했다. 세계 3대 자산운용사인 뱅가드(Vanguard)도 중국 군수 관련 기업 투자 금지 목적으로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 차이나텔레콤의 주식을 매각하기도 했다. 투자자뿐만 아니라 유럽을 중심으로 금융권에도 최근 ESG가 기업 대출의 평가 요소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업의 신규 대출이나 대출 갱신시에 금리 조건을 산정할 때 다양한 ESG 평가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본 칼럼은 동작경제신문과, 성남매일경제에 동시 연재되고 있습니다.
◆◆ 필자소개 ◆◆
◆ 경력
(현) (주)한국산업기술경영연구원 대표
(현) KIITM 아카데미 교육연수기관 원장
(현) 건국대학교 벤처전문기술학과 경영공학박사
(현) 산업응용분야 공장관리기술사
(현) 경영지도사(생산관리)
(현)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
(현) 서울중소벤처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 전문 상담위원
(현) 경기테크노파크 기술닥터
(현) 스마트팩토리혁신추진단 스마트평가위원
(현) K-ESG평가원 기획평가위원회 진단‧평가위원
(현) 메인비즈협회 ESG 경영컨설팅 전문위원
(현) ISO인증 검증(선임)심사원
(현) ISO인증 & ESG 심사원/전문가 양성과정 교육 전담교수
(현)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R&D 평가위원
(현) 한국콘텐츠진흥원 평가위원
(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평가위원 외.
◆ 전문분야
기업진단, 경영전략, 공정개선, 생산혁신, 품질개선, 경영컨설팅, ISO인증심사,
ESG진단.평가, ESG컨설팅, ISO인증심사원 및 ESG심사원 양성과정 교육
(교육과정: ISO9001/14001/45001/50001/27001/37001/ESG심사원 양성과정 외 다수)
◆ 저서
중견·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ESG 완전정복]
-ESG 경영의 이해와 실행 지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