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포커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의료
법조
언론/방송
비즈니스
연예/스포츠
전문직
오피니언
기고
칼럼
기획
탐방
커뮤니티
중앙회
후보생
직능단체
대학동정
현역
기별동정
피플
구인/구직
경조사
인사/동정
보고싶은 그대
커뮤니티
비즈니스 장터
포커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의료
법조
언론/방송
비즈니스
연예/스포츠
전문직
오피니언
기고
칼럼
기획
탐방
커뮤니티
중앙회
후보생
직능단체
대학동정
현역
기별동정
피플
구인/구직
경조사
인사/동정
보고싶은 그대
전체 기사
커뮤니티
비즈니스 장터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포커스
오피니언
커뮤니티
피플
ROTC뉴스 소개
비즈니스 장터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오피니언
칼럼
칼럼
다음
이전
칼럼
장원장의 건강칼럼(7) - 건강을 꿰는 왕도 - 네번째 신(身), 자세가 성공을 좌우한다!
닭을 풀어놓고 기르는 양계장에 가면 우두머리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놈들의 영역에 들어가면 제일 먼저 머리를 힘껏 들어올리며 경계하는 닭이 바로 우두머리입니다. 그래서 옛 사람들은 많은 사람들의 무리에서 남다른 기상으로 한 눈에 띠는 인물을 가리켜 군계일학(群鷄一鶴)이라 비유하였습니다. 눈에 띠는 그 사람의 자세에서는
김창현
2023.04.25 15:49
칼럼
장원장의 건강칼럼(6) - 건강을 꿰는 왕도 - 세번째 식(食), 잘 먹고 잘 살자
인스턴트가 나쁘다는 것은 모두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바른 먹거리는 잘 알고 계신가요? 보통은 TV에서 좋다고 하면 다들 그것을 먹으려고 해서, TV에서 좋다고 하는 먹거리는 방송 후 마트에 가면 품절이 되어 있거나 가격이 올라있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그것도 다른 재료가 TV에 나오면 곧 인기가 시들해지고 합니다. 이런
김창현
2023.03.28 14:22
칼럼
마인드 리셋(Mind Reset), 스스로 변화를 만들기 - 2. 조직을 리셋 하라!
이번에는 조직 차원에서의 리셋 경영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려 한다. 조직 차원에서 리셋의 사례를 살펴본다면 아마도 조직개편, 구조조정, 인수 또는 매각 같은 큰 변화가 발생했던 조직이라면 모두 조직 차원의 리셋 경영을 경험한 것이다.삼성그룹의 경우 조직이 어려움에 처하면 항상 강조하는 것이 '기본으로 돌아가자' 또는 '
김창현
2023.03.28 13:43
칼럼
장원장의 건강칼럼(5) - 건강을 꿰는 왕도 - 두 번째 의(衣)
의(衣)는 거의 항상 피부에 닿아있는 것입니다. 너무 친숙하다보니 건강과 밀접함에도 중요함을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 옷인 것 같습니다. 필자가 말하는 왕도에 있어서 의(衣)는 옷을 포함한 피부에 직접 닿는 모든 것을 말합니다.좁은 의미 의(衣)는 옷으로 추위나 더위의 온도에 따라 입는 평상복이 있고, 특수한 상황(잠수복,
김창현
2023.03.14 13:26
칼럼
마인드 리셋(Mind Reset), 스스로 변화를 만들기 - 1. 인생을 리셋 하라
국어사전에 따르면 리셋(Reset)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구 전체나 일부를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일이라고 정의한다. PC를 활용하는 작업을 많이 하는 사람이라면 PC를 수차례 리셋 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때 리셋은 PC가 공장에서 출시되는 시점으로 되돌아가는 포맷(Format)과 달리 사용자가 사용했던 어느 시점까지
김창현
2023.03.14 13:13
칼럼
장원장의 건강칼럼(4) - 건강을 꿰는 왕도 - 첫 번째 주(住)
건강을 꿰는 왕도(王道)인 의(衣), 식(食), 주(住), 신(身-자세), 심(心-마음)이라는 5가지 기준 각각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그 전에 잊지 않으셔야 할 것은 건강은 젊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인식이 중요합니다. 건강이 실천으로 유지된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나이가 들어 아픈 것은 누적된 문제가 나타나
김창현
2023.02.07 15:44
칼럼
장원장의 건강칼럼(3) - 건강을 꿰는 다섯 가지 기준(의, 식, 주, 신, 심)
오늘은 건강을 꿰는 다섯 가지 기준(의, 식, 주, 신, 심)으로 건강을 향한 왕도에 관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건강이란 무엇일까요? 세계보건기구(WHO)의 헌장에는 “건강이란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것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라고 정의합니다. 필자가
ROTCNEWS
2023.01.15 16:32
칼럼
누가 강사인가? – 강사는 강의의 강사인가? 강연의 강사인가?
“강사는 강사(講師)인가? 강사(講士)인가?” “스스로 강사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생각하는 강사의 개념을 무엇일까?”네이버의 어학사전에 따르면 강사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강사는 서로 뜻이 다른 강사(講師)와 강사(講士)로 구분된다. ◆ 강사(講師)는 강의(講義)를 한다. 강사는 강의주제에 관한 학력, 자격증, 경력을
ROTCNEWS
2023.01.15 16:17
칼럼
장원장의 건강칼럼(2) - 건강비법!! 왕도를 말한다!
정말 매혹적인 말이다. 40의 불혹(不惑)을 넘어 50의 지천명(知天命)을 향해 가거나 넘어간 여러분들은 건강비법, 즉 왕도를 알아야만 한다. 하지만 시작하기에 앞서 먼저 이상한 말을 해야 할 것 같다. 건강엔 비법은 없다. 오직 왕도가 있을 뿐이다. '무슨 말이냐?'고 하는 말이 귀에 선하다. 필자의 이야기가 건강보조식
ROTCNEWS
2023.01.15 15:37
칼럼
명리학칼럼 제5화 - ‘음양’
오늘은 말씀드린대로 10간과 12지지의 음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10간은 음과양의 순서와 기운이 동일합니다. ‘갑’은 양의 기운을 ‘을’은 음의 기운을 갖습니다. ‘병’과 ‘정’도 마찬가지로 양과 음의 기운을 각각 갖게됩니다. 기타 저번 시간에 배운 10간인 무기, 경신, 임계의 음양은 자연스레 아시겠죠? 그렇다
ROTCNEWS
2023.01.15 14:50
칼럼
장원장의 건강칼럼(1) - 다시 쓰는 50대 인생의 중간점, '건강이 미래다'
100세 시대를 맞이했습니다. 이 말을 듣고 긴장하지 않는다면 정말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준비를 해야 할 것입니다. 무엇이 기본이 되어야 할까요? 맞습니다. 건강입니다. 건강하다는 것은 활력이 있다는 말입니다. 바꿔 말하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에너지가 충만하다는 것입니다. 노래 가사인 ‘내 인생의 빈
ROTCNEWS
2022.11.06 16:41
칼럼
명리학칼럼 제4화 -‘60갑자의 오행’
원광만세력 어플리케이션으로 일진을 살펴보셨는지 궁금하네요. 60갑자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만 아셨다면, 훌륭한 성과라고 생각됩니다. 10간 12지지는 그렇게 움직입니다.오늘은 10간과 12지지에 대해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0간의 갑,을은 ‘목’ 나무의 기운입니다. 병,정은 ‘화’ 불의 기운, 무,기는 ‘토’
ROTCNEWS
2022.07.31 11:54
칼럼
이상하지 않은 우영우를 응원하며...
최근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연일 화제에 오르고 있다. 변호사라는 검색어만 치더라도 이 드라마가 검색될 정도이니 엄청난 인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인기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서 집계하는 주간 톱 10 비영어권 tv부문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이제는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드라마로 화제를 일으키고 있다.특수교육을
ROTCNEWS
2022.07.28 12:29
칼럼
명리학칼럼 제2화 - ‘완전한 달력’
우리가 쓰고 있는 현재의 태양력은 완전 할까요? 그외에도 우리가 쓰고 있는 음력은 완전 할까요?태양의 주기는 정확히 365.242196일 달의 주기는 29.530589일이라고 합니다. 소수점이 긴게 답답해 보이시죠? 긴 소수점의 답답함이 만든 오차만큼, 태양력과 음력의 역사도 태양과 달의 주기를 잡아내는데 답답한 세월을
ROTCNEWS
2022.01.17 23:52
칼럼
대한민국에서 직업인(職業人)으로 살아남기 - (8) 자신의 능력 원천을 확보하라
자신의 업(業)을 갖고 있다는 것은 자신의 능력(能力) 원천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가령 직장인이라면 최소한 입사 시 입사지원서에 제시한 스펙만큼의 능력을 갖고 있을 것이다. 입사 후에도 회사에서 배우는 지식과 기술, 경험이 자신의 능력 원천이 된다. 직장인이 아니더라도 지식과 기술을 갖고 있는 능력자 밑에서 일을 배우
ROTCNEWS
2022.01.17 23:47
칼럼
대한민국에서 직업인(職業人)으로 살아남기 - (7) 자신의 능력(能力)을 파악하라
자신의 업(業)을 갖고 있다는 것이 곧 성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업계(業界) 내에서 생존경쟁력에서 살아남는 능력(能力)을 갖고 있어야 한다. 능력은 항상 발전하는 것만은 아니다. 없던 능력이 생기기도 하지만 갖고 있던 능력이 사라지기도 하고, 무용지물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자신의 업(業)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ROTCNEWS
2021.12.12 11:45
칼럼
대한민국에서 직업인(職業人)으로 살아남기 - (6) 자신의 업(業) 관련 오리지널을 확보하라
필자가 오랫동안 결론을 내리지 못한 질문이 하나 있다. '전문가가 되려면 제일 먼저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대부분은 직장에 취업을 해서 담당 직무를 부여 받고, 해당 직무를 오랜 시간 동안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전문성을 인정받는 경우이다. 또는 해당 직무와 관련된 국가공인 인증 자격을 취득함으로써 전문성을 확보하는
ROTCNEWS
2021.11.28 11:44
칼럼
대한민국에서 직업인(職業人)으로 살아남기 - (5)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업(業)으로 만들자
가장 자신 있게 할 수 있고 재미있게 할 수 있는 것을 자신의 업(業)으로 삼는 것이다. 그런데 직장에서 업(業)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이런 경우는 드물다. 회사에서 정한 여러 가지의 직무 가운데 몇 개로 제한된 직무 중에서 배정받기 때문이다. 자신이 원하는 직무를 배정받는 경우는 많지 않다. 자신이 전공한 분야와 동떨어진
ROTCNEWS
2021.11.21 11:41
1
|
2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