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경제 기업은 이미 커뮤니티 기반의 초고령화, 지역 소멸, 청년 일자리,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약자들의 편에서 그들과 생사를 함께 해 오고 있다.

사회적 경제 기업들은 사회적 가치를 정관에 명시하고 투명하게 실천하는 것을 목숨처럼 여기기 때문에 지배구조상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하지만 경제적 가치보다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고 영세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대안과 위기관리 체계가 갖추어져 있는 일반 기업보다 ESG에 대해 인식하고 실행하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 본연의 미션, 가치 추구 및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차근차근 준비해야 한다.

우리 기업은 직원이 아직 50명도 채 안되어 법적인 제재에서 벗어난다고 생각하지 말고 「중대재해처벌법」을 숙지하여야 하며, 타 기업과의 공급망 관리 차원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자사의 목표와 관련된 비전, 가치관 수립과 아울러 ESG 관점에서 경영 체크리스트 및 성과지표들을 만들고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경제 관련 참고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1)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https://www.socialenterprise.or.kr)

2)사회적기업통합정보시스템
(http://www.seis.or.kr)

3)국내 최대 사회적 가치 ESG 플랫폼
(https://socialvalueconnect.com)

4)사회적 경제 상품몰
(https://www.sepp.or.kr/shopMal/main)

◆◆ 필자소개 ◆◆

◆ 경력
(현) (주)한국산업기술경영연구원 대표
(현) KIITM 아카데미 교육연수기관 원장
(현) 건국대학교 벤처전문기술학과 경영공학박사
(현) 산업응용분야 공장관리기술사
(현) 경영지도사(생산관리)
(현)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
(현) 서울중소벤처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 전문 상담위원
(현) 경기테크노파크 기술닥터
(현) 스마트팩토리혁신추진단 스마트평가위원
(현) K-ESG평가원 기획평가위원회 진단‧평가위원
(현) 메인비즈협회 ESG 경영컨설팅 전문위원
(현) ISO인증 검증(선임)심사원
(현) ISO인증 & ESG 심사원/전문가 양성과정 교육 전담교수
(현)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R&D 평가위원
(현) 한국콘텐츠진흥원 평가위원
(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평가위원 외.

◆ 전문분야
기업진단, 경영전략, 공정개선, 생산혁신, 품질개선, 경영컨설팅, ISO인증심사,
ESG진단.평가, ESG컨설팅, ISO인증심사원 및 ESG심사원 양성과정 교육
(교육과정: ISO9001/14001/45001/50001/27001/37001/ESG심사원 양성과정 외 다수)

◆ 저서
중견·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ESG 완전정복]
-ESG 경영의 이해와 실행 지침서-